|
매출원가는 기업이 제품 또는 용역을 판매하기 위해 발생하는 직접적인 비용을 뜻한다. 통상 매출원가에는 원자재값과 인건비, 생산 부대 비용 등이 포함된다. 매출원가가 매출을 상회했다는 것은 그만큼 직접비용이 영업활동을 통해 얻는 수익보다 많다는 뜻으로 이윤을 창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볼 수 있다.
SKC의 원가부담이 높아진 것은 전기차 등 전방시장 수요 감소와 관련이 깊다. 이차전지 소재를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고 적극적으로 설비투자를 단행한 것이 오히려 생산성 둔화로 이어져 원가 부담을 키웠다는 분석이다.
생산성은 일정 수준 이상의 생산량을 유지했을 때 최대가 되는데 가동률이 낮을 경우 단위당 생산비용이 증가해 원가 부담 확대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생산에 투입되는 고정비로는 임대료와 보험료, 유지 보수 비용 등이 있다.
실제 SKC 내에서 이차전지 소재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SK넥실리스의 생산효율은 크게 저하된 상황이다. 대규모 설비 투자로 모수인 생산 능력은 늘었지만 수요 감소로 생산 실적이 줄어들며 전체 가동률은 50%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만 보더라도 SK넥실리스의 이차전지 소재 설비 가동률은 전지박과 연성동박적층필름(FCCL)이 각각 54.7%, 51.3%에 불과하다.
여기에 SK넥실리스가 생산하는 동박 원가 부담도 크게 늘었다. 동박 원가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국내 전력비가 가파르게 상승하며 투입 비용이 크게 증가한 영향이다. 산업용 전기료는 최근 2년 새 6차례 인상돼 2022년 1분기 대비 킬로와트시(㎾/h)당 60.2원 올랐다.
이처럼 높은 원가 압박이 지속되면서 SKC의 현금창출능력은 상실된지 오래다. 영업활동에서 오히려 손해를 보는 상황이 이어지다 보니 현금흐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이다.
SKC의 올해 1분기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마이너스(-) 3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EBITDA는 이자와 세금, 감각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등을 차감하기 이전 이익으로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현금 창출 능력을 뜻한다.
이와 관련 SKC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와 마찬가지로 수요 회복 지연과 동가 하락 영향으로 판가가 소폭 하락했다”며 “말레이시아 공장이 램프 업(Ramp UP) 과정에 있어 감가상각비가 증가했고, 낮은 가동률에 따른 고정비 부담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의 장기적인 성장 전망은 여전히 유효하다”며 “품질 및 원가 경쟁력 강화에 집중, 하이엔드 제품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의 회복 추세에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전기차 예상 판매량은 약 1641만대로 전년 대비 16.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난해 성장률인 33.5%보다 16.9%p 하락한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