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피카소 작품 닮은 이 그림…화가에게 '모방'을 허하라[정하윤의 아트차이나]<28>

오현주 기자I 2023.04.21 00:01:02

▲중국의 입체파 ''팡간민''
파리 유학 중에 ''입체파 미술''에 눈 떠
앞·뒤·옆서 본 대상, 한데 조합에 매료
피카소 참조한 회화 등으로 실험 이어
근대 中 화가의 서양화에 늘 따라붙는
"남의 그림 베껴도 좋은 미술가인가"
색채·구도 가능…...

팡간민의 ‘가을의 멜로디’(1933). 프랑스 최고 미술학교인 에콜 데 보자르에서 수학한 뒤 중국 상하이로 돌아온 팡간민이 입체파 실험을 이어가던 중 그린 작품이다. 파리 유학시절에 접한 다채로운 아방가르드 미술 가운데 유독 입체파의 작업에 매료된 팡강민은 그 화법을 자신의 작품들에 녹여냈다. 날카로운 선으로 쪼개서 조합한 듯한 형상 속에 얼룩덜룩한 색을 채운 이 그림은 입체파 대표 화가 피카소·브라크 등의 작품과 닮아 있다. 문화대혁명을 거치면서 원본은 소실되고 사진으로만 전한다. 캔버스에 유채.


중국 그림을 보지 못한 지 한참입니다. 한국 미술시장이 자못 뜨거웠던 지난해와 올해, 세계의 작가와 작품이 우리를 기웃거리던 때도 중국은 없었습니다. 중국 ‘큰손’ 컬렉터의 규모와 수가 미국을 제쳤다는 얘기도 이미 2~3년 전입니다. ‘으레 미술은, 그림은 그런 것’이라며 반쯤 우려하고 반쯤 체념했던 한국화단을 뒤흔든, 기발한 감수성으로 뒤통수를 내리쳤던 중국 작가들이 하나둘 사라졌습니다. 예술을 예술이 아닌 잣대로 들여다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예술에 기대하는 희망 역시 그런 게 아니겠습니까. 정치에도 경제에도 답이 없다 생각할 때 결정적인 열쇠를 예술이 꺼내놨습니다. 오랜시간 미술사를 연구하며 특히 중국미술이 가진 그 힘을 지켜봤던 정하윤 미술평론가가 이데일리와 함께 그 지점 그 장면을 들여다봅니다. 때마침 ‘한중 수교 30주년’입니다. 다들 움츠리고 있을 때 먼저 돌아보는 시간이고 먼저 찾아가는 길입니다. 매주 금요일 독자 여러분을 깊고 푸른 ‘아트차이나’로 안내합니다. <편집자 주>

[정하윤 미술평론가] 네모난 화면 속에 불명확한 형체가 보인다. 팔과 다리, 가슴과 엉덩이가 있는 걸 보니 사람 같기는 한데, 이상하게도 얼굴은 없다. 몸은 얼룩덜룩 칠해져 어째 멍이 든 것 같기도 하고, 기계처럼 조립된 것처럼도 보인다. 배경 또한 조각이 나서 대체 어디인지 알아볼 수 없지만, 우측에 노랗게 물든 나뭇잎이나 ‘가을의 멜로디’(1933)라는 제목을 통해 가을 풍경인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아리송한 이 작품은 중국 화가 팡간민(方幹民·1906∼1984)의 그림이다.

1906년 쩌장지역에서 태어난 팡간민은 항저우에서 고등학교를 다닐 무렵부터 그림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고 한다. 학식이 높았던 팡간민의 아버지는 아들이 상하이의 상급 미술학교에 진학하는 데 동의해줬다. 상하이는 당시 중국 미술의 중심이었고 ‘오늘 파리에 있으면 내일 상하이에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서양의 동시대 문물을 급속도로 받아들였던 나름의 코스모폴리탄이었다. 팡간민은 상하이 미술전문학교 2학년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야망 있던 그는 거기서 만족하지 않았다. ‘변방이 아닌 중심에 서리라!’ 팡간민은 1925년 미술의 메카인 파리로 이동했고, 6개월간 불어를 배운 후 리옹의 미술학교에 입학했다.

◇스승은 학교 밖에…파리 유수 갤러리서 ‘진짜 미술’ 접해

당시로선 이것만으로도 놀라운 성취였지만 그의 행보는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1년 뒤 프랑스의 최고 미술학교인 에콜 데 보자르의 합격증을 따냈다. 상하이 미술전문학교에서 탄탄히 다진 소묘 실력이 도움이 됐을 것이다. 유서 깊은 파리의 미술학교에서는 아주 사실적인 스타일의 유화를 배웠고, 팡간민의 실력은 일취월장했다. 하지만 그의 진짜 스승은 학교 밖에 있었다. 파리 유수의 갤러리들, 그는 그곳에서 진짜 미술을 접했다.

당시 파리는 그야말로 신미술의 용광로였다. 야수처럼 물감을 처바르던 마티스, 하늘을 둥둥 나는 로맨틱한 회화를 그리는 샤갈, 모든 대상을 입방체로 그리던 피카소 등. 또 이 모두를 전복시켜버리겠다는 다다이스트, 신흥 대세로 떠오르던 초현실주의까지. 수많은 파리의 아방가르드 미술 중 팡간민의 마음을 끈 것은 입체파였다. 사물의 ‘진실’을 그리기 위해 하나의 대상을 앞·뒤·옆에서 보고, 그 모든 모습을 한 화면에 조합하는 입체파의 작품은 팡간민에게 이지적이면서 혁신적으로 느껴졌다. 입체파의 두 거장 파블로 피카소와 조르주 브라크가 입체파를 가장 열렬히 탐험했을 때가 1910년대였으니 팡간민이 파리에 있을 때는 이미 거장으로 자리잡은 뒤였다. 신선하면서도 무르익은 입체파의 작품은 새로움을 추구하면서도 안목을 갖춘 팡강민의 눈과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파리 미술계에서 견문을 넓힌 팡간민은 1929년 중국으로 돌아와 교편을 잡았다. 상하이의 여러 학교에서 서양화를 가르쳤는데 젊고 열정적인, 게다가 파리에서 갓 돌아온 신임 교수는 학생들에게서 많은 관심을 받았다. 팡간민은 아카데믹한 그림을 가르치는 한편, 입체파에 대한 실험을 계속했던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이 그에게 ‘큐브’란 별명을 붙인 것을 보면 말이다. 공교롭게도 그의 성 ‘팡’은 큐브를 뜻하는 ‘팡’과 발음이 같다. 본투비 입체파라고나 할까.

‘가을의 멜로디’나 ‘흰 비둘기’(1934)는 이 무렵 팡간민이 그렸던 그림이다. 두 작품 모두 선이 날카롭고 형태가 쪼개져 있으며, 색이 균일하지 못하고 얼룩덜룩하다. 모두 피카소나 브라크의 회화를 참조한 결과다.

◇입체파에 매료돼 자신 작업에 녹여…‘모방은 죄인가’ 문제

그런데 여기서 잠깐. 이렇게 팡간민처럼 남의 그림을 많이 참조한 화가도 과연 ‘좋은 미술가’라고 할 수 있을까. 미술에는 ‘독창성’이 그렇게 중요하다고들 하는데, 남이 창안한 스타일을 보고 베낀 거라면 그것은 그냥 ‘아류’가 아닐까.

이런 질문은 근대 중국 화가가 그린 서양화에 항상 따라붙는다. 비단 중국만이 아니다. 한국이나 일본의 근대미술도 이 질문을 피해 갈 수 없다. 아무래도 20세기 초, 아시아는 서구의 문물을 받아들이는 쪽이었고, 미술 특히 서양화는 서구를 늘 따라가는 쪽이었기 때문이다. 어떤 이들은 아시아 화가들이 서양 사람들이 하던 것을 몇십년이나 뒤처져 모방한 2류, 그것도 제대로 베끼지도 못한 3류라고 흉을 본다. 팡간민의 경우로 말하자면, 피카소가 ‘아비뇽의 아가씨들’을 그린 지 10년이나 지나서 겨우 형태를 분절한 것도 우스운데, ‘대상의 본질을 파악한다’는 피카소의 의도도 파악하지 못한 거라는 비난이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단언컨대 다른 미술가들에게서 영향을 받지 않는 작가는 없다. 피카소 또한 세잔의 형태적 실험과 색채에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 미술가도 인간인데 어떻게 외부의 영향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겠는가. 선배 화가들의 작품을 보고 자신의 작품을 시도하는 게 전혀 흠 잡힐 만한 일이 아닌 거다. 물론 피카소의 경우는 ‘대상의 진실을 파악한다’는 세잔의 목적까지도 그대로 물려받았지만, 팡간민의 경우는 아니었다. 하지만 이것 때문에 평가절하 당한다면 억울하다.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팡간민의 ‘흰 비둘기’(1934). 여인의 인체를 입체파적인 기법으로 그렸다. 하나의 대상을 앞·뒤·옆에서 보고 모든 모습을 한 화면에 조합해 사물의 진실에 다가간다는 입체파의 작업은, 팡간민에게 이지적이면서 혁신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이후 팡간민은 모든 대상의 형체를 분절하고 입방체로 보이게 한 입체파의 주요 특징을 자신의 작업에 반영했다. 캔버스에 유채.


하나는 일단 문화적으로 팡간민이 피카소의 목표를 완벽히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는 거다. 대상을 완벽히 이해하겠다며 형태를 분해해서 보는 것은 중국인이었던 팡간민에게는 충분히 공감되지 않았을 수 있다. 또 다른 이유는 미술가가 꼭 원본의 의도를 간파해 그것까지 적용해야 하느냐는 거다. 아니다. 그냥 눈으로 봤을 때 흥미로워서 형태나 색채, 구도 같은 형식적 요소만 받아들이는 경우도 많으니 전혀 문제 될 게 없다. 모네나 반 고흐가 일본의 미술에서 영향을 받았을 때, 또는 피카소가 아프리카 원시조각에서 영감을 받았을 때, 원래의 의도와 목적과 의미를 모두 파악해서 적용했던 건 아니었다. 그렇기에 우리가 아시아 미술에만 너무 엄격한 잣대를 들이밀진 않았으면 좋겠고, 혹 서양의 것을 그대로 (그것도 뒤늦게) 베낀 미술이란 콤플렉스가 조금이라도 있었다면 그로부터도 자유로워지면 좋겠다.

◇문화대혁명 때 ‘우파’로 몰려 치욕 당하기도

안타깝게도 팡간민의 입체파스러운 작품에는 무시무시한 평가가 뒤따랐다. 마오쩌둥의 시대, 그와 그의 작품은 무사하지 못했다. 문화대혁명 때 팡간민은 ‘우파’로 몰려 치욕을 당했다. 근무하던 항저우 미술학교 주변을 걸으며 구경거리가 됐던 거다. ‘퍼레이드’라고 불린 이 행위는 문화대혁명 시기 우파로 찍힌 이들에게 죄명이 씌인 명패를 목에 두르고 행진하게 했던 일종의 벌인데, 팡간민의 경우는 행진할 때 군중으로부터 날아온 먹과 물감을 맞았으며, 폭력과 욕설까지 당했다. 나아가 팡간민은 홍위병에 의해 들어간 감옥에 오랜기간 갇혀 있기까지 했다. ‘가을의 멜로디’를 포함해 팡간민의 작품이 많이 남아 있지 않은 것은 이 시기에 상당수가 파괴됐기 때문이다.

마오쩌둥의 사망과 함께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세상이 변하자 팡간민도 이젤 앞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하지만 일흔의 팡간민은 젊은 시절 열심을 다했던 입체파스러운 작품으로는 돌아가지 않았다. 1980년대에 팡간민은 마치 중국의 수묵산수화와 서양의 풍경화가 접목된 것처럼 보이는 편안한 풍경을 화폭에 담았다. 산전수전 다 겪은 노화가는 생의 말년, 혁신보다는 안정을 원했는지도 모르겠다.

△정하윤 미술평론가는…

1983년 생. 그림은 ‘그리기’보단 ‘보기’였다. 붓으로 길을 내기보단 붓이 간 길을 보고 싶었단 얘기다. 예술고를 다니던 시절 에른스트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에 푹 빠지면서다. 이화여대 회화과를 졸업했지만 작가는 일찌감치 접고, 대학원에 진학해 미술사학을 전공했다. 내친김에 미국 유학길에 올라 캘리포니아주립대 샌디에이고 캠퍼스에서 중국현대미술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실 관심은 한국현대미술이었다. 하지만 그 깊이를 보려면 아시아란 큰물이 필요하겠다 싶었고, 그 꼭대기에 있는 중국을 파고들어야겠다 했던 거다. 귀국한 이후 미술사 연구와 논문이 주요 ‘작품’이 됐지만 목표는 따로 있다. 미술이 더 이상 ‘그들만의 리그’가 아니란 걸 알리는 일이다. 이화여대 등에서 미술교양 강의를 하며 ‘사는 일에 재미를 주고 도움까지 되는 미술이야기’로 학계와 대중 사이에 다리가 되려 한다. 저서도 그 한 방향이다. ‘꽃피는 미술관’(2022), ‘여자의 미술관’(2021), ‘커튼콜 한국 현대미술’(2019), ‘엄마의 시간을 시작하는 당신에게’(2018) 등을 펴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