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금융당국 및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국내 은행과 은행지주의 코코본드 발행 잔액은 총 31조4000억원 수준이다. 세부적으로는 은행이 18조1000억원어치, 은행지주가 13조3000억원어치를 발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신종자본증권은 주식과 채권의 중간 형태로, 통상 30년 이상 장기채로 발행해 영구채 성격을 띤다. 회계상자본으로 일부 인정 받을 수 있기에 금융권에서 자본확충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국내 은행들도 자본확충 수단으로 상각형 신종자본증권이나 후순위채권 등 코코본드를 발행해왔다. 지난 2013년 바젤III 자본적정성 규제가 도입되면서 자본 수준을 일정 기준 이상 유지해야 했기 때문이다.
22조가 넘는 코코본드가 상각된 CS 사태 이후 국내 은행권이 보유한 신종자본증권에 이목이 집중된 상황. 신종자본증권 문제로 시장의 높은 우려를 한몸에 받는 은행권은 연달아 콜옵션 행사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5년이 경과하면 콜옵션 행사가 가능하고, 통상 행사하는 경우가 일반적임에도 시장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계획을 선제적으로 밝히는 모양새다. 신한지주가 내달 중 1350억원의 콜옵션 행사 계획을 밝혔고, 우리은행도 내달 중 5000억원 물량의 콜옵션을 행사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
그러나 국내 주요 은행권의 경우 자본비율이 G-SIB(시스템적중요은행) 최저 자본 비율 수준인 11.5%, 경기 대응 완충 자본을 고려한 12.5%를 모두 상회하고 있다는 평가다.
정혜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은행의 신종자본증권이 상각될 위험의 경우, 이론적으로만 가능하지 현실적으로는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며 “은행들의 우수한 자본 적립 수준을 고려할 때 원금 상각 요건이 발생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코코본드 상각 위험보다는 시장 우려로 인해 자금조달 환경이 더 악화되는 점이 문제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 채권시장 관계자는 “신종자본증권 문제 보다는 오히려 과도한 우려 때문에 채권시장 투심이 더 나빠지는 게 문제”라며 “은행 외에 보험업권에서도 신종자본증권을 활용하는데 지난해 하반기처럼 금리가 과도하게 뛰면 부담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