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부모님 걸음걸이를 잘 살펴야 하는 이유 [조성진의 엉뚱한 뇌 이야기]

노희준 기자I 2022.04.23 00:02:00
조성진 순천향대 서울병원 신경외과 교수가 뇌 이야기를 합니다. 뇌는 1.4 키로그램의 작은 용적이지만 나를 지배하고 완벽한 듯하나 불완전하기도 합니다. 뇌를 전공한 의사의 시각으로, 더 건강해지기 위해, 조금 더 행복한 인생을 살기 위해 어떻게 뇌를 이해해야 하고, 나와 다른 뇌를 가진 타인과의 소통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의학적 근거를 토대로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재미있는 이야기들과 함께 탐구해보겠습니다. 일주일 한번 토요일에 찾아뵙습니다.

[조성진 순천향대 부속 서울병원 신경외과 교수] 인간은 움직이는 동물(動物)이므로 많이 움직일수록 건강하다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세상에 태어나 두발로 세상을 딛고 걷는데 만 1년이 걸리는 동물은 인간이 유일하다. 인간이 직립을 하면서 골반이 작아졌기에 큰 머리로 분만이 불가능했던 것과 태어난 후 뇌 발달에 시간이 걸리는 것 때문에 걸음마가 늦어진 것인데 이런 큰 약점을 가진 인간이 약육강식의 원시시대에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었는지 경이로울 따름이다.

보행은 사람이 걸을 때 사지의 움직임의 패턴을 말하며, 균형은 몸을 똑바로 유지하면서 무게 중심을 유지하는 능력이다. 갑자기 발생하는 어지러움증은 균형 감각을 잃게 되어 정상적인 보행이 불가능해 지는데 가장 많은 원인이 흔히 이석증으로 알려져 있는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기증이다. 평생을 살면서 인구의 반 정도가 한번쯤은 이석증에 의한 어지러움을 경험하며, 머리를 부딪힌 후 발생하는 경우도 흔하다. 갑자기 발생한 어지러움증은 소뇌의 출혈이나 경색에 의한 감별진단을 위해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병원에서 회진을 돌다 보면 많은 환자들이 뇌 문제로 걸음을 제대로 걷지 못하며, 아예 서지도 못하는 경우도 많다. 우리는 아프기 전까지 두발로 서서 걷는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 모르고 살고 있다. 그래서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사람들의 불편함도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다. 지금은 뇌 회로에 이상이 없어서 불편함이 없지만 건강하던 사람도 언제 뇌 이상이 생겨 휠체어에 의지해야 할지 모르는 일이다.

의사는 걸음걸이만 봐도 사람의 상태를 어느정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파킨슨씨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보폭이 좁은 종종 걸음을 하고 마치 바닥에 자석이 있어 발을 당기고 있는 듯이 발을 땅에서 들기가 어렵다. 뇌간이나 소뇌에 이상이 있는 사람들은 어지러움증으로 중심을 잡지 못하고 주저앉는 경우가 흔하다. 뇌종양이나 뇌출혈이 운동신경 중추를 손상시킨 경우에는 한쪽의 팔다리에 힘이 빠져 지팡이나 휠체어를 이용하지 못하면 이동을 할 수 없다. 이런 안타까운 경우를 많이 보는데 의사란 직업이 결국 누군가의 아픔을 봐야 하는 직업이지만 더 아프지 않게 하기 위해 그리고 이런 일이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하기 위해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기도 하다.

걸음걸이가 느려지거나 보폭과 리듬의 변화가 생기는 경우에는 인지기능 쇠퇴의 신호일 수 있으며,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증상일 수 있다. 특히 기억력과 보행 속도가 함께 감소한 사람들은 치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또한 걷는 동안 팔을 불규칙하게 흔드는 것은 파킨슨병의 초기 증상일 수 있다고 하니 부모님의 걸음걸이를 평소 유심히 살펴보는 것도 필요하다.

요즘 길거리에는 신체 이상이 없는 사람들도 비정상적인 보행을 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대부분 스마트폰을 보면서 걷는 경우 거북목이라 일컫는 자세를 하고 고개를 숙이면서 걷는데 이런 경우 척추에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걷기는 복잡하지 않은 활동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보행과 균형은 모두 뇌, 신경계, 감각기관 및 근골격계 사이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니 보행에 방해가 되는 스마트 폰은 잠시 멀리하는 것이 좋겠다.

비정상적인 걸음걸이를 가진 사람은 보행 패턴과 관련된 추가적인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비정상적인 보행의 일부 원인은 단기적이고 치료하기 쉬운 반면, 다른 원인은 평생 지속될 수 있으니 걸음걸이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

걸음이 느리게 걷는 게 좋은지 아니면 빠르게 걷는 게 좋은지에 대해 갑론을박이 있었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빠르게 걷는 것이 더 좋다는 것이 정설이다. 중년의 걸음걸이가 느릴수록 신체가 빨리 노화하고 얼굴이 더 늙어 보이며 뇌 크기도 더 작다고 한다. 더 빨리 걸을수록 더 오래 살 수 있고 인지능력도 좋아진다는 것이다. 빠른 걸음의 속도는 일반적으로 시속 5~7 km의 속도인데 보행자의 체력 수준에 따라 다르니 약간 숨이 차거나 땀이 나는 속도로 걸으면 된다.

건강해지고 싶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일단 스마트폰은 주머니에 넣어두고 빠르게 걷기부터 실천해 보는 것이 어떨까.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