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김석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환경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의 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을 강력 비판했다.
앞서 2011년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 이후 세계의 여러 해양기관들은 후쿠시마 앞바다에 방출된 오염수가 우리나라 근해에 본격 유입되는 시점을 5~6년 정도로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당시 분석을 이번 방류에 그대로 대입하긴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바다는 굉장히 복잡하다. 계절, 바람, 온도, 방출량 등에 따라 흐름이 달라질 수 있다”며 “일본의 배출 시점이나 배출량에 따라 국내 바다 유입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지금 우리로서는 일본이 어떤 방식으로, 얼마나 되는 양을 바다에 방류할지 알 수 없는 것이 문제”라며 “정확한 예측을 위해선 일본 정부의 투명한 정보 제공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원전 오염수의 영향 예측을 고도화하고 있다. 일본 정부 등으로부터 해양방출에 관한 세부적인 정보를 입수하는 즉시 우리 해역에 미치는 영향을 빠른 시간 내에 분석할 수 있는 장비를 도입했다.
해양과학기술원은 원전 오염수 내 방사성물질의 국내 해역 유입여부, 유입시기 및 농도 등 오염수가 우리 해역에 미치는 영향을 최단시간 내에 과학적으로 분석해 공개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국 연안 해역에 대한 방사성물질 감시망도 더욱 강화했다. 삼중수소·세슘 등 원전 오염수 내 방사성물질의 국내 해역 유입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다.
지난해 해양수산부가 전국 항만 조사정점 39개소,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전국 32개소에서 바다환경 변화를 선제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동·남해와 제주 등 주요 해역의 13개 정점에 대해 연간 조사횟수를 4회에서 6회로 늘렸다.
김 연구원은 “일본이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재처리를 했다고 하지만 오염수로 인한 영향은 여전히 알 수 없다”며 “일본이 20년 이상 해양 방류를 하겠다고 밝힌 만큼, 오염물질이 우리바다에 축적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원전 오염수 배출에 따른 수산물 오염 가능성도 우려했다. 그는 “물고기는 국경이 없다. 먹이사슬을 따라 오염물질이 전이될 수도 있다”며 “정부로서는 수산물 영향에 대해서도 정밀하게 예측해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