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의원과 박 의원의 맞대결은 친문과 비주류의 경쟁으로 설명된다. 윤 의원은 이해찬 전 대표와 가까운 당권파이자 친문 핵심으로 분류된다. 당 사무총장을 맡았던 21대 총선 당시 공천 작업을 주도하며 민주당 내 친문 초선 의원들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박 의원은 86 운동권 출신으로 민주당 주요 계파인 경제민주화와 평화통일을 위한 국민연대(민평련)의 전폭적인 지지가 예상된다. 지난 대선 당시에도 안희정 당시 충남도지사를 지원하는 등 친문 핵심과는 결이 다르다.
윤 의원과 박 의원은 4·7재보선 참패 원인 및 앞으로의 민주당의 원내 전략에 대해서도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민주당 차기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부의 남은 임기 1년간 174석 집권여당을 진두지휘하는 만큼 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입법 추진 방향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윤 의원은 개혁을 통한 위기 극복을 강조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으로서 여권의 검찰개혁과 부동산 관련 입법을 주도적으로 추진해왔던 것의 연장선상이다. 당청관계에 대해서도 당정협의 제도화를 통한 강력한 협력체계 구축을 약속했다. 특히 당내 일각에서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관련한 논란으로 지지율이 떨어졌다는 지적에 대해 “1년 반 전에 있었던 일이며 개인적인 평가는 하지 않을 것”이라며 “당내에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도록 하겠다”고 말을 아꼈다.
애초 출마가 예상됐던 안규백 의원은 “가장 낮은 곳에서 정권 재창출에 앞장서겠다”며 불출마했는데 사실상 윤 의원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보인다. 안 의원은 대선 출마가 유력한 정세균 국무총리의 측근으로 친문과 정세균계가 손을 잡은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박 의원은 입법 추진 노선 수정을 암시했다. 민생법안 우선 추진 및 재보궐 선거 원인 제공시 무공천 당헌당규 재개정, 건강한 비판이 가능한 환경 조성 등을 약속했는데 친문 일색이었던 당 컬러를 바꿔보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당이 주도하는 당정청 관계 정립을 언급한 것도 눈에 띈다.
그는 “지난 1년간 민심 이반에 침묵하고 방관했던 것을 반성할 것이며 저부터 변화하고 혁신하겠다”며 “변화와 혁신에는 골든타임이 있고, 그 출발은 민주당의 가치를 회복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다만 “문재인 정부가 민주당 정부이며 문 정부의 실패는 민주당의 실패”라며 친문과 완전히 선을 긋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