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을 허용한) 미디어법 이후 다양성위원회에서 미디어 상황에 대한 기초데이터가 나와 각종 정책의 중요 작용을 한다.(양문석 상임위원)”
“시청점유율이 KBS에서 MBC, CJ로 넘어오는 자료를 보면서 비로소 조·중·동이 왜 CJ를 혼내는 지 알 수 있었다.(김충식 상임위원)”
방통위는 올해 안에 TV뿐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통한 TV 시청률까지 시범조사한 뒤 구체적인 통합시청점유율 산정 방식을 만들어낼 예정이다. 그런데 방통위가 하려는 것과 TNmS, 닐슨 등이 추진 중인 것은 다르다. TNmS 등은 조사패널을 정하고 피플미터와 리모콘 등을 이용해 자동집계하는 반면 방통위는 이들이 만든 시청률 데이터에다 방송사 주식·지분 소유현황, 방송사 및 일간신문의 광고매출액 자료, ㈔한국ABC협회의 일간신문 유료구독가구부수 인증결과 등을 집계해 분석한다. 종편의 경우 자체 방송프로그램의 시청률뿐 아니라, 계열사 신문의 여론영향력도 시청점유율에 포함되는데, 이 때 방통위가 만든 매체간 비교지수가 적용된다.
시청률이 프로그램에 대한 인기도라면, 시청점유율은 매체 간 영향력 지수(방송을 1로 볼 때 일간신문의 상대적 영향력을 보여주는 비율, 2012년 0.45%) 등을 고려한 정책데이터다.
전문가들도 미디어 시장의 규제가 ‘시청점유율’ 규제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한다.
언론이기도 한 미디어를 규제하는 이유가 여론 독점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면, 규제의 방향도 콘텐츠에 대한 시청점유율로 가는 게 옳다는 이야기다. 소비자가 티브로드 케이블을 보느냐 KT(030200) IPTV를 보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떤 방송사 어떤 프로그램이 여론 지배력이 있는가의 이슈라는 말이다.
성낙일 서울시립대 경제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지상파를 제외하고 시청점유율 30% 규제, 방송사업 소유제한, 시장점유율 규제 등이 중첩돼 있지만, 선진국처럼 10%, 15% 등 단계적인 시청점유율 규제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
카카오톡의 광고플랫폼인 카카오톡 플러스친구는 KT 자회사 나스미디어(089600)가 만든 커스텀 봇(상품명 ‘노크’)이라고 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용자 접근성을 높이고 광고주인 기업엔 제대로 된 고객관계관리(CRM)를 지원하고 있다.시청률은 효율적인 광고집행에 필요한데, ‘노크’ 같은 스마트미디어 분석기는 더 개인화된 시청률조사기(피플미터)인 셈이다.
▶ 관련기사 ◀
☞ '트위터도 TV시청률로 합산?..통합시청률 논의 활발
☞ '갈길 먼 통합시청률'..해법 나오면 '노벨상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