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마켓인]"펀드레이징이 안되네"…美中 갈등에 중국 PE 패싱

김연지 기자I 2023.08.24 06:29:57

올해 들어 결성 완료된 中 사모펀드 단 9건
조달액도 3조6000억 수준으로 쪼그라들어
"현 분위기 이어지면 근 10년 만에 최저치"
돌파구 찾는 中…"리스크 안고 투자할 이유X"

[이데일리 김연지 기자] 중국의 경기 둔화가 심화하는 가운데 중국 사모펀드(PEF)운용사들의 펀드레이징 상황도 녹록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종료와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으로 중국에 대한 해외 투자가 재개될 것으로 전망됐으나 최근의 미국발 제재로 좀처럼 기지개를 켜지 못하는 모습이다. 자본시장 안팎에서 ‘중국 투자는 한참 멀었다’는 말이 심심찮게 들리는 배경이다.

지난 2012년부터 중국 사모펀드운용사들이 조달한 기관자금 및 펀드 건수. 올해 (사진=피치북)
23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피치북에 따르면 중국 사모펀드운용사들은 올해 초부터 8월 15일까지 총 9건의 펀드를 통해 27억달러(약 3조6000억원)의 국내외 자본을 조달했다. 이는 45개 펀드를 통해 370억달러(약 50조원)를 조달한 지난해와 크게 차이가 나는 규모다. 피치북은 이러한 분위기가 지속될 경우 중국의 펀드 조성 수준은 최근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자본시장 역사상 이러한 전례는 없었다. 중국은 그간 ‘아시아 최대 경제 대국’이라는 말에 걸맞게 국내외 자본을 속속 끌어모으며 몸집을 불려왔다. 정점을 찍은 시점은 지난 2016년으로, 중국은 당시 131개 펀드를 통해 글로벌 기관투자자들로부터 150조원 가까이 조달했다. 이후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148개와 105개 펀드를 통해 100조원 이상을 꼬박꼬박 조달해왔다.

하지만 미·중 갈등이 격화하면서 이러한 펀드레이징 움직임은 둔화하는 모습이다. 특히 최근 미국 바이든 정부가 자국 내 경영참여형 사모펀드운용사와 벤처캐피털(VC)을 향해 중국에 대한 투자 통제를 발표하면서 상황은 보다 악화됐다. 앞서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달 초 미국 자본이 중국 첨단 반도체와 양자 컴퓨팅, 인공지능(AI) 등 3개 분야에 투자하는 것을 규제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자본시장에서 각광받는 업종 모두에 대해 투자 제한을 걸며 사실상 중국으로 향할 만한 외국계 자본줄을 원천 차단한 셈이다.

중국은 나름의 대처 방안을 찾아 나가는 모양새다. 피치북은 “중국 정부는 최근 몇 년 간 산하 기금을 조성해 민간 시장에 활발하게 참여해왔다”며 “중국 산업 육성 정책에 따라 정부 기관과 민간이 함께 손잡는 사례가 두드러지게 많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중국 베이징 기반의 리서치업체 제로투IPO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중국은 2107개의 민관협동 펀드를 통해 8960억달러(약 1198조원)를 모았다.

그럼에도 해외 자본을 갈망하는 중국 PE들은 정치적 위험을 수반하지 않는 섹터를 통해 펀드레이징 기회를 엿보고 있다. 소비재 분야가 대표적이다. 예컨대 소비재 분야 바이아웃에 강점을 가진 중국 루나캐피털은 최근 기존 소비재에서 명품 분야 바이아웃으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다만 일각에선 이러한 중국계 운용사들의 노력에도 중국에 해외 자본이 쏠리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자본시장 한 관계자는 “아시아 최대 경제 대국인만큼 투자 기회가 크지만, 정치적 리스크를 떠안으면서까지 투자에 나설 만한 메리트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며 “그간의 미·중 갈등으로 투자자들은 일찍이 동남아시아와 인도 등 다른 지역에서 기회를 찾아 나서왔고, 이러한 움직임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