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최근 잇달아 대미대남 압박 수위를 높이는 상황에서 바이든 미 행정부의 대북정책 검토가 완료되는 다음 달이 한반도 정세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금주 미국 대북정책의 막판 조율을 위한 한미일 안보실장회의가 예고된 데다, 김일성 주석 생일(4월15일 태양절)과 정의용 외교장관의 방중 추진 등 주요 변수들이 남아 있어 한반도 정세 중대기로에 놓여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8일 외교부에 따르면 서훈 국가안보실장은 이번 주 개최 예정인 한미일 안보실장회의 참석 차 미국 워싱턴으로 출국한다.
|
또한 지난 21일과 25일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한 논의를 할 확률도 높다. 사실상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첫 무력 도발로, 현재 검토 중인 미국의 새 대북기조 수위 설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지켜봐야 할 대목이다.
1월 출범 뒤 진행해온 바이든 정부의 새 대북정책은 마무리 단계다. 대화와 압박 병행 전술을 택할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미 정부는 동맹국들과 막판 의견 조율을 거쳐 수주내 완료할 것을 공언해왔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의 방중 추진도 눈여겨봐야 할 변수다. 정 장관의 방중이 서둘러 이뤄지면 대화의 장으로 북한을 견인하기 위한 중국 측의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외교부는 “한중 양측은 정 장관의 방중과 관련해 긴밀히 소통해 오고 있다”면서도 “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말을 아꼈다.
관건은 북한의 추가 도발 여부다. 변곡점은 4월15일 태양절 전후가 유력하다. 전문가들은 미 대북정책에 별 기대가 없는 북한이 점차 도발 수위를 높여갈 공산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김동엽 북한대학원 대학교 교수는 “향후 북한의 군사적 행동 수위가 점증할 가능성이 높다”며 “향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의 시험발사 가능성을 시사한 만큼 시간표대로 간다는 북한의 ‘마이웨이’ 선언으로 읽힌다”고 했다.
일각에선 김 위원장이 미사일 발사 현장을 직접 지도하지 않은 점, 압박수위를 조절한 점에서 북미대화 재개 가능성이 여전히 열려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