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진 에스티팜 대표 "올리고, 수요폭발에도 경쟁자 없어"

김지완 기자I 2022.10.17 09:30:27

저분자화합물과 항체치료제 장점 쏙 뺀 RNA 치료제 개화
최근 만성치료제로 영역 확대하며 올리고 수요 폭발
그럼에도 올리고 공급할 수 있는 회사는 세계 3곳 뿐
공격적인 올리고 생산라인 증설에도 완전가동 자신

[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글로벌 제약사들이 올리고 생산라인 확보에 혈안이 돼 있습니다”.

김경진 에스티팜 대표가 지난 6일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에 위취한 본사에서 이데일리와 인터뷰 중이다. (사진=김지완 기자)


김경진 에스티팜(237690) 대표이사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이하 올리고) 수요 폭발을 확신했다. 에스티팜의 현재 올리고 생산능력은 연간 6.4몰(mole, 약 1t~3.2t)로 세계 1위다. 에스티팜은 오는 2024년 1단계, 2026년 2단계 추가증설로 올리고 생산량을 14몰까지 늘릴 계획이다. 14몰에서 생산되는 올리고는 ㎏으로 환산하면 최소 2.3t에서 최대 7t에 이른다. 올리고 판매가는 통상 상업용은 g당 200달러(28만원), 임상용은 600~700달러(85만~100만원) 정도다. 1몰당 167kg에서 500kg의 올리고가 생산된다.

이데일리는 지난 6일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에 위치한 본사를 찾아 에스티팜의 올리고 기술력·시장전망·비전에 대해 살펴봤다.

◇ 올리고? 저·고분자 치료제 장점만 ‘쏙’

올리고 시장이 갑자기 커지는 이유를 묻자, 김 대표는 “저분자 합성화합물은 치료 효과가 높지 않다”면서 “그래서 고분자 항체치료제 개발로 많이 넘어갔다. 문제는 항체치료제 개발에 천문학적인 연구비, 개발비, 임상비가 들어간다”고 지적했다. 그는 항체치료제는 수만ℓ 규모의 바이오리액터를 필요로 하는 등 장치산업으로 전환되며 개발비 증가가 불가피해졌다고 부연했다. 업계에선 저분자화합물(알약)을 개발하는데 80억원이 들면, 항체치료제(바이오의약품)를 개발하는 데는 800억원이 소요된다는 얘기가 있다.

올리고는 개발비용을 줄이면서도 항체치료제 장점을 고스란히 흡수했다. 김 대표는 “올리고는 저분자 화합물처럼 합성을 하기 때문에 연구·개발비를 줄이면서도 고분자이기 때문에 효능은 항체치료제와 유사하다”면서 “생산에 있어서도 항체치료제보단 비용이 적게 든다”고 설명했다.

올리고는 RNA 치료제 원료가 된다. RNA 기반 치료제는 질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에 직접 작용하지 않고 해당 단백질이 생성되는 것을 차단해 원천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RNA 치료제는 단백질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없기 때문에 내성도 없다. 아울러 약물 디자인이 간단해 빠르게 개발할 수 있다. RNA 치료제는 표적 단백질에 대한 선택성이 높고 약물 지속성도 우수하다.

척수성근위축증 치료제 스핀라자가 대표적인 RNA 기반 치료제다. 스핀라자는 몸도 못 가누던 아이들을 스스로 앉거나 일어서게 만드는 치료제로 알려져 있다. 스핀라자의 연 매출만 2조원에 달한다.

◇ 만성질환으로 영역 넓히며 올리고 시장 폭발

RNA 치료제는 지난 2018년 간세포 투과 기술(Gal-Nac)이 개발돼 만성질환까지 치료제 개발 영역이 확장됐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글로벌 제약사들이 만성질환 치료제 파이프라인 개발이 급증했고, 이와 동시에 에스티팜의 올리고 생산능력과 기술에 시장 관심이 올라갔다.

그는 “에스티팜의 전신인 삼천리제약이 1988년부터 영국 그락소웰컴(현 GSK)에 HIV치료제 ‘지도부딘’(Zidovudine)의 중간체인 싸이미딘을 공급했다”면서 “그 씨이미딘의 케미칼 구조가 오각형으로 돼 있다. 이 오각형 케미칼 구조를 22~25개 이어붙이면 올리고가 된다”고 설명했다. 즉, 알약 22개에서 25개 효능을 내는 것이 올리고 치료제라는 설명이다.

에스티팜은 1987년 국내 최초로 지도부딘 합성기술을 한국화학연구소와 공동 개발했다. 에스티팜은 한때 에이즈치료제 중간체인 씨이미딘의 세계시장 점유율 94%를 차지했다.

김 대표는 “에스티팜의 올리고 기술은 어느 한순간 튀어나온 것이 아니고, 40년 이상 축적되고 계속 진화를 거듭한 결과”라면서 “바꿔 말하면, 올리고에 대한 기술장벽이 상당히 높아, 후발주자 진입이 쉽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에스티팜을 포함해 올리고를 대량 생산에 공급할 수 있는 회사는 글로벌 전역에 단 3곳뿐이라고 부연했다. 에스티팜은 시화·반월 생산공장은 모두 식품의약국(FDA) cGMP(우수의약품 제조 및 관리) 인증을 받았다.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마켓’(Research&Market)은 지난해 7월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RNA 백신·치료제 시장규모가 32조6000원에 이를 것을 전망했다. 이 전망치에서 mRNA 관련 제제는 제외됐다. 업계에선 현재 개발 중인 만성질환 치료제가 상업화되면 연간 12t 규모의 올리고가 필요할 것으로 관측했다.

◇ 급격한 증설? 완전가동 자신

공격적인 생산라인 증설에도 가동률 우려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우리는 임상 2상 이상 단계에서 상업화 가능성이 높은 RNA 치료제만 골라서 수주를 받고 있다”면서 “이 치료제 중 상업화가 되면 연간 3t의 올리고가 필요한 것도 있다. 다른 계약을 고려하면 우리 설비로는 감당 안되는 수요”라고 분석했다. 그는 에스티팜이 현재까지 수주한 올리고 파이프라인이 20여 개에 달한다고 귀띔했다.

실제로 이 같은 우려에 한 글로벌 제약사는 에스티팜에 2000만달러(286억원)를 투자해 생산라인 1개(0.8몰)를 확보했다. 계약 상대방인 글로벌 제약사는 생산라인 구축비 외에도 유지보수비, 라인 인건비, 설비사용 수수료 등 연간 30억~70억원을 부담하는 조건에 동의했다. 여기에 상업화에 따른 매출 인센티브까지 약속했다.

김 대표는 “해당 글로벌 제약사가 올리고 공급부족이 예상된다는 걸 염두에 두고 내린 결정”이라면서 “CDMO들이 돈이 되는 임상 3단계나 상업화 물량만 맡으려고 하는 경향을 간파한 것이다. 제약사 입장에선 임상 초기 올리고 CDMO를 못 구해 치료제 개발이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를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 대표는 서강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화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텍사스A&M대에서 화학박사를 취득했고 버클리대에서 박사후 과정을 거쳤다. 그는 로슈 R&D센터 연구원, 에스티팜 연구소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