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는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은 물론 세계 경제 성장률도 기존 전망치 대비 0.5%포인트 낮은 2.8%로 하향 조정했다.
|
IMF는 22일(현지시간)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4월 세계 경제전망’을 발간했다. 이번 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은 올해 예상치(2.0%) 대비 1.0%포인트 낮은 1.0%로 수정됐다. 다만 보고서에는 한국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나 분석은 없이 수치만 담겼다.
IMF는 매년 4차례(1·4·7·10월) 한국을 포함해 주요 국가들의 경제 전망치를 내놓는다. 기존에는 하나의 기준으로 추산하는 ‘기준 전망’을 발표했지만, 이번엔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기 위해 기준일을 보다 세분화한 ‘보완 전망’을 함께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다만 국가·지역별 성장률은 지난 4일까지의 정보를 기준으로 한 ‘기준 전망’만 제시했다.
보완 전망은 △4월 2일(현지시간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일) 이전 △4월 9일(미국의 90일간 상호관세 유예 발표, 중국의 보복 관세 돌입) 이후를 각각 기준으로 삼았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IMF는 최근의 정책 불확실성을 감안해 주요 발표가 있었던 날짜들을 기준으로 보완 전망을 새롭게 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국내외 주요 기관들이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을 잇따라 하향했지만, IMF의 전망치인 1.0%는 이 가운데서도 가장 낮은 수치다. 한국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1.5%로 제시했고,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6%로 봤다. 이달 들어 수치를 제시한 아시아개발은행(ADB) 역시 1.5%, 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AMRO)는 1.6%을 각각 예상했다. 이들 주요 기관의 경우 트럼프발 관세 영향은 담아도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격화한 상황까지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큰 한국의 충격을 아직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에 IMF의 이번 전망이 글로벌 무역 질서 재편 따른 충격을 고스란히 담은 첫 가늠자라는 평가도 나온다.
주요국도 ‘줄줄이’ 하향…IMF “경제 위험 요소 더 많아”
한국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내수 부진과 더불어 올해는 그간 경기를 지탱해왔던 수출까지 흔들리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큰 상황이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통상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한국의 성장률에 대한 하향 조정이 불가피했을 것”이라며 “대미, 대중 수출은 한국 전체 수출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어 미·중 무역갈등 격화는 곧 성장률 하향 조정과 이어진다”고 분석했다.
세계 경제 성장률만 내놓은 IMF의 보완 전망을 보면, 미국발 관세 정책의 충격파가 고스란히 드러난다. 지난 1월 IMF는 세계 경제 성장률을 3.3%로 예상했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본격화하기 전인 4월 2일 이전까지 0.1%포인트를 낮춘 3.2%의 전망을 유지했다. 그러나 상호관세를 발표한 4일 세계 경제성장률을 0.5%포인트 낮춰 2.8%로 봤다.
눈에 띄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를 발표한 9일 이후에도 세계 경제성장률을 2.8%로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상호관세에 따른 충격은 일단 유예됐지만,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격화한 충격이 크다는 얘기다.
주요 국가들의 성장률 전망치도 대폭 하향됐다. 특히 미국은 1월 대비 0.9%포인트 하향한 1.8%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는데, IMF는 정책 불확실성과 무역 긴장, 소비 회복 지연 등을 주요 하방 요인으로 들었다. 미국과 맞닿아 통상 영향이 큰 멕시코는 기존 대비 1.7%포인트 낮아진 -0.3%로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됐다. 영국(1.1%), 독일(0.0%), 프랑스(0.6%) 등 유럽은 물론 일본(0.6%), 중국(4.0%) 등의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대비 0.2%~0.6%포인트 가량 낮아졌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IMF를 시작으로 우리 경제 성장률이 더 낮아질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오락가락하는데다 중국의 보복 관세 등으로 불확실성이 더 커진 탓이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한국은행이 1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을 언급한 만큼 IMF가 제시한 1.0%이 숫자상 말이 안 되는 수준은 아니다”라며 “트럼프 정책은 워낙 불확실성이 커서, 상방과 하방 모두 열려 있어 정확한 전망을 내놓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IMF는 세계 경제가 무역 갈등, 각종 정책적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소비·투자 위축 등 위험 요인이 더 많은 상황에 놓여 있다고 짚었다. IMF는 “미국 관세 조치 인하, 상호 협상 등이 진행될 경우 세계 경제 눈높이가 다시 상방 조정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