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는 국회 본관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1차 컷오프 결과를 발표했다. 8명의 예비후보 중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후보(가나다순)가 2차 경선에 진출했고, 나경원·양향자·유정복·이철우 후보가 떨어졌다. 선관위는 득표율은 별도 공개하지 않고 2차 경선 진출자 4명의 명단만 발표했다.
최근 여론조사 결과 등을 고려할 때 김문수·한동훈·홍준표 후보가 1~3위를 차지하고 이후 남은 한 자리를 두고 나경원·안철수 후보가 경합을 벌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21일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조사해 발표한 ‘차기 대선후보 적합도’에서 범보수는 김문수(12.2%), 한동훈(8.5%), 홍준표(7.5%) 후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나경원(4.0%), 안철수(3.7%) 후보가 4,5위를 다퉜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안철수 후보가 나경원 후보를 제친 데는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후 본선 경쟁력을 갖춘 중도보수 후보에 대한 지지가 컸기 때문으로 보인다. 나 후보는 대표적인 반탄파로 윤석열 전 대통령을 마지막까지 비호했다. 특히 1차 경선이 당원투표를 배제하고 100% 국민여론조사 형태로 진행된 점도 안 후보의 2차 진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안철수 후보가 2차 경선에 진출한 것은 대선에 이기기 위해서 중도적 이미지가 있는 사람이 보강돼야 한다는 생각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종훈 정치평론가 역시 “당의 중도보수 성향 사람들이 본선경쟁력을 생각해 안철수를 선택했을 것”이라고 했다.
|
◇ ‘당심 50%’ 2차 경선…탄핵 찬탄 두고 거칠 듯
2차 경선은 국민여론조사 100%였던 1차 경선과 달리 당원투표 50%, 국민여론조사 50%로 진행된다. 이 때문에 1차 경선때보다 당심이 훨씬 더 중요해진다. 또 2차 경선 후 과반 득표자가 없으면 1,2위간 결선투표를 진행한다.
찬탄(안철수·한동훈)-반탄(김문수·홍준표) 후보가 2대2로 구성되면서 2차 경선에서는 비상계엄과 탄핵을 두고 설전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김문수·홍준표 후보는 1차에서는 상대적으로 탄핵과 관련한 언급을 아꼈으나 당심이 크게 반영되는 2차 경선에서는 당원표를 얻기 위해 강력한 반탄 기조를 강조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 안철수 후보는 지난 2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전광훈 목사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며 “탄핵 정국 당시 전광훈 목사와 보조를 맞추며 극우의 길을 함께한 나경원·김문수·홍준표 세 분은 분명히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하기도 했다.
안철수·한동훈 중도보수 후보 간 접전도 치열할 전망이다. 1차 경선 당시에서 두 후보는 불출마를 선언한 오세훈 서울시장 및 유승민 전 의원의 중도보수표를 끌어오기 위해 치열하게 붙었다. 정치권에서는 안철수 후보가 2차 경선에 포함돼 한동훈 후보의 표를 일부 흡수, 반사효과로 홍준표·김문수 후보가 1,2위를 차지할 것이라는 예측도 한다.
전문가들은 2차 경선에서 과반 투표자가 나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는 분위기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한쪽으로 표 쏠림 현상이 일어나려면 시간이 충분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기엔 시간이 많지 않다”고 했다. 3차 최종결선 투표까지 진행될 경우 국민의힘 최종 대선 후보는 다음 달 3일에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