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이번 대선 공약에는 한국판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불리는 직접환급제를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는 방안이 포함될 전망이다. 신영대 의원이 이날 발의한 조세특례제한법(조특법) 개정안은 영업이익이 나지 않아도 기업들이 세액공제분만큼 현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골자다.
배터리 업계는 대규모 초기 설비투자가 필요한 탓에 영업이익을 내기까지 긴 시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법인세 공제 방식이 적용되는 현재로선 영업이익이 발생해야만 세금을 공제받을 수 있다. 지난해에는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한파로 기업들이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면서 기존 세액공제 혜택이 무용지물이란 지적이 더욱 거세게 일었다.
트럼프 2기 미국과 중국, 일본 등 주요국들이 배터리를 국가 전략 산업으로 규정하고 천문학적 지원을 쏟아부으며 총력전을 펴는 모습과 대조적이다. 배터리 산업은 전기차, 에너지 저장장치(ESS), 스마트폰 등 다양한 첨단 산업의 기반으로 향후 수출과 일자리 창출의 중요한 축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 의원은 “이재명 후보는 국가 전략 기술에 대한 국내 생산 촉진 세제 도입을 직접 언급하는 등 산업 정책을 대선 핵심 의제로 강조하고 있고 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는 선언도 그러한 맥락에서 나온 것”이라며 “세제 혜택을 통해 기업 투자를 촉진하고 생산 유발 효과를 만드는 것은 당장은 손해처럼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국가의 미래를 놓고 보면 오히려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키우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AI는 우리가 세계적으로 뒤처지고 있는 분야지만 배터리는 글로벌 1~2위를 다툴 정도로 이미 잘하고 있다”며 “국가 미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정부가 직접적으로 개입해 배터리 산업을 육성하지 않으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