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의학교육위원회를 구성·운영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의학교육 발전을 위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기 위해 의학교육위원회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라며 “교수 등 의학교육 전문가뿐만 아니라 학생들도 참여할 수 있게 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간담회 직후 이 부총리는 기자들을 만나 “오늘 자리가 의대생들이 수업에 복귀하고 의견을 자유롭게 제안, 정부가 정책을 개선하는 선순환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총리 발언에 앞서 최안나 대한의료정책학교 교장은 익명으로 쓰인 한 의대생의 편지를 대독했다. 이 의대생은 편지를 통해 “이런 자리가 드디어 마련된 것에 부푼 기대 안고 있다”며 “이주호 부총리가 2026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확정 발표한 것은 사태 해결의 초석이 되리라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의학교육 정책 결정에서 교육부가 우리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간담회 참석자는 대한의료정책학교 소속 의대생·전공의와 일반 의대생·전공의들로 구성됐다. 대한의료정책학교는 지난 19~21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간담회에 참여할 의대생을 공개 모집한 바 있다. 대한의료정책학교는 지난달 30일 개교한 비공식 교육단체다. 보건의료 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의사면허 취득 10년 이내의 의사와 의대생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정부와의 대화·합의를 요구 중인 탓에 의대생 중에서도 온건파로 분류된다. 초대 교장은 최안나 전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이다. 교육부는 이날 간담회를 통해 온건파 의대생들만이라도 수업에 복귀하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뜻을 표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의대생 여론을 주도 중인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대협)이 간담회에 빠진 탓에 소통 물꼬를 트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강경파로 분류되는 전국 40개 의대 학생회 연합체인 의대협은 필수의료패키지 등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 철회를 주장하며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를 이끌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해부터 의대협에 여러 차례 대화를 제안했지만 아직까지 성사되지 않았다. 의대협은 정부가 필수의료 패키지를 포함한 의료개혁 정책을 전면 철회하지 않는 이상 수업에 복귀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주 정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 3058명 동결을 발표했음에도 이날까지 별다른 입장문을 내놓지 않았다.
한편 의대 본과 4학년생들의 유급 결정 시점도 속속 도래하고 있다. 지난주까지 전국 40개 의대 중 19개교가, 이번 주에는 8개교가 추가돼 총 27개교(67.5%)가 유급 기준일에 도달할 예정이지만 상당수 학생은 여전히 수업에 복귀하지 않은 상태다. 최근 교육부가 밝힌 의대 수업 참여율은 평균 25.9%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