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는 철강 등에 대해 25%의 품목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반도체에 대한 품목 관세 도입을 예고했다. 관세는 스마트폰이나 PC 등 ICT칩에 먼저 부과할 가능성이 큰 편이다. 어떤 반도체 제품이냐에 따라 관세 타격 여부가 달라질 전망이다.
경희권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손에 잡히는 모바일이나 컴퓨터 서버 칩에 먼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미국 주요기업이 중국에서 들여오는 값싼 반도체 소싱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가게 될 것이다. 관세를 통해 미국 내 중국 영향력을 축소하는 목적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반도체 품목 관세의 목적은 중국을 압박하기 위한 용도로 쓰일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범용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국내 반도체 기업은 타격을 입게 된다. 일반 IT 기기에 주로 탑재되는 범용 D램, 낸드플래시 매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삼성전자가 영향을 더 받게 된다.
|
고관세 부과 대상인 중국, 대만, 베트남에서 한국 반도체를 탑재해 생산된 IT 세트가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어,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상호관세와 더불어 품목 관세까지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하는 처지에 놓인 셈이다.
이에 반해 AI 반도체는 미국 빅테크를 중심으로 강한 수요가 발생하고 있어 트럼프 대통령도 극단적인 조치를 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당장 미국 내에서 생산이 어려운 고대역폭메모리(HBM) 등은 국내 메모리 기업을 대체할 제품이 없다”며 “AI 반도체에 관세를 높게 매기면, 빅테크의 반발을 불러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가격 상승에 따른 AI 투자 축소 등 반도체 산업의 위축은 우려 요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