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면 중국은 교역이 단절될 수준의 관세폭탄을 맞을 위기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한 데 대해 “중국이 8일까지 이를 철회하지 않으면, 기존 34% 상호관세에 추가로 50%포인트(p)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2기 출범 전까지 중국산 제품에 대한 평균 관세율은 20.8% 수준이었지만, 마약 확산 등 안보 이슈를 이유로 두 차례 10%p씩 인상되며 40%를 넘어섰고, 상호관세까지 더하면 74%에 달한다. 여기에 50%p가 추가되면 평균 관세율은 124%라는 초유의 수준까지 치솟는다..
중국은 강력 반발했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이 중국에 대해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한 데 대해 단호히 반대한다”며 “만약 미국의 관세 인상이 실행된다면 중국도 자국의 권익을 지키기 위한 강경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중 간 무역 마찰이 또 한 차례 격화될 조짐이다.
한편, 베트남, 유럽연합(EU)도 트럼프식 관세정책에 대응해 협상에 나설 뜻을 내비쳤다. 베트남은 ‘제로(0%) 관세’카드를 꺼냈고, EU는 자동차 등 주요 산업제품에 대해 ‘상호 무관세’ 방안을 제안했다. 또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보복 관세 시행 시점도 일부 연기하면서 트럼프 달래기에 나선 모양새다. 반면 윤석열 대통령 탄핵으로 리더십 공백이 생긴 한국은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하고도 경쟁국보다 상대적으로 ‘상호관세 늪’에서 더 오래 빠질 위기에 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