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7일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이 증폭되면서 국내는 물론 세계 경기에 대한 예측이 어려워진 현 상황을 ‘터널 안’에 비유했다. 이번 금리 결정의 배경을 단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날 금통위는 연 2.75%의 기준 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
이 총재는 “지난 2월 통방 이후 정책 여건 중에서 가장 큰 변화는 통상 여건이 크게 악화된 것인데, 향후 전개 과정에 대한 불확실성이 전례 없이 크다”며 “성장의 하방위험이 상당폭 확대된 것이 사실이지만 미국 관세정책의 강도와 주요국의 대응이 단기간에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만큼 현재로서는 전망의 기본 시나리오조차 설정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금리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근거가 되는 분석과 전망이 필요한데, 현 상황에서는 애초 전망에 비해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 외엔 성장률 하향 폭이나 경제가 받을 직·간접적인 타격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을 내릴 수 없단 이야기다.
기준금리 인하가 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고려했다고 이 총재는 덧붙였다. 미 관세정책의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이 이미 크게 확대된 상황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시장 이탈과 위안화 가치 절하 등으로 원화 값이 재차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서다.
이같은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와는 별개로 다음달 금리 인하에 대한 신호는 비교적 명확하게 준 것으로 해석된다. 터널을 다 빠져나오지 못하더라도 시야가 어느 정도 확보되면 속도를 서서히 높일 수 있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다.
이 총재는 금통위원 6명 전원이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뒀다면서, “5월에 우리가 전망치를 낮출 가능성이 굉장히 큰 상황이기 때문에 전망 수정치와 금융·외환시장 상황을 보면서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인하 가능성을 열어놓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었다”라고 전했다.
또 이날 회의에서는 신성환 금통위원만이 ‘금리 인하’ 소수의견을 냈지만, 나머지 다섯명의 금통위원도 성장과 물가를 봤을 때는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봤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