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이 움직이지 않는 이유는 복귀하고 싶어도 복귀할 방법이 없어서다. 이미 반기별 수련시스템이 돌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중간에 합류하기 어렵다는 게 의료계의 설명이다. 김성근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은 “사직 전공의는 제도적으로 9월에 지원이 가능하다”면서 복귀 방안이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정부가 별도의 복귀 방안을 만들어도 현재 사직 전공의가 수련 생활로 돌아갈 이유가 크게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많은 수의 사직전공의가 이미 의료현장 혹은 기업에서 일하고 있다. 갑자기 이들이 하던 일을 그만두고 수련병원으로 복귀하기엔 현실적으로 무리라는 분석이다. 한 대학병원 교수는 “지금 수련병원 나간 전공의는 여유 있는 삶을 살고 있는데 이들이 다시 돌아오기 쉽지 않을듯 하다”고 말했다.
전공의가 줄기차게 요구했던 수련환경 개선 또한 미진하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한 수련병원 관계자는 “연속수련시간과 주당 수련시간이 줄어든다고 하지만, 그마저도 일부 수련병원에 한정돼 시범사업으로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이마저도 대한의학회 등은 수련시간 법정 한도를 기존 주 최대 80시간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어 갈등이 예상된다.
무엇보다도 사직 전공의가 병원에서 나가고 장외 투쟁하는 과정에서 수련병원 구성원과의 신뢰 관계가 깨진 점이 가장 큰 문제다. 낮은 신뢰 관계로 말미암아 복귀가 어려워지고 복귀 후에도 사태를 수습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 의대 교수는 “교수 등 지도전문의와 병원장 등 경영진을 ‘착취자’로 규정하고 반발하면서 서로 등을 돌렸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이어 “사직 전공의가 돌아오면 현재 PA간호사(진료지원간호사)가 맡은 업무를 조정하는데 큰 문제는 없지만, 서로 믿지 못해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이 잘 안 잡힌다”고 덧붙였다.
한편 복지부는 교육부의 발표에 대해 “의대 학사일정이 완전히 정상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교육여건을 감안한 조치라고 생각되나, 3월 초 발표한 2026년 의대 모집인원 결정 원칙을 바꾸게 된 것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이번 조치가 의대수업 정상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짧게 입장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