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국민의힘 소속의 홍준표 대선 예비 후보(8%)와 김문수 대선 예비 후보(8%), 한동훈 대선 예비 후보(6%) 등이 뒤를 이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예비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예비 후보는 각 3% 지지율을 보였다.
|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후보 간 3자 대결에서 지지율은 ‘이재명’(45%), ‘김문수’(22%), ‘이준석’(9%) 순을 보였다. 김문수 대신 홍준표가 합류했을 경우 지지율은 ‘이재명’(45%), ‘홍준표’(24%), ‘이준석’(7%)다. 한동훈 후보와의 3자 대결에서는 ‘이재명’(45%), ‘한동훈’(17%), ‘이준석’(8%)의 지지율을 보였다.
대선에선 구도를 묻는 질문에는 ‘정권교체를 위해 기존 야권 후보가 당선되어야 한다’는 정권 교체론이 54%로 조사됐다. ‘정권재창출을 위해 기존 여권 후보가 당선되어야 한다’는 정권 유지론은 33%였다. ‘모름·무응답’ 비율도 12%나 됐다.
또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부정 인식은 66%, ‘바람직하다’는 긍정 인식은 24%였다.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응답이 91%인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55%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37%, 국민의힘 30%, 조국혁신당 7%, 개혁신당 3%, 진보당 1%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여론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23.2%,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