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기선 국무조정실장은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날 진행된 한미 정상 간 통화에 대해 “정부가 최우선 과제라고 생각하는 것은 통상 리스크”라며 “국제 질서 재편이 어떻게 될 것인지 관심을 갖고 최우선으로 (관세 문제 해결에) 매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방 실장은 이어 “미국과 통상 리스크 문제로 국민적 관심도 크고 불안이 있기 때문에 정부나 기업들과 만나 꾸준히 관세 조치 영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 중에 있다”며 “민관이 함께 힘을 모으고 있다”고 강조했다.
|
총리실 고위 관계자는 “한미 간 경제 통상과 관련해 LNG, 조선, 무역 균형 등이 관세문제와 패키지로 간다고 보면 된다”며 “관세율 문제가 있기 때문에 관세율을 조정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한미 무역 균형 관련 미국의 적자폭을 줄이는 방안에 대해서는 “양국이 투자, 구매, 조선업 협력 등을 포함해서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균형을 이루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은 또 이날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국산 LNG 대량 구매와 알래스카 가스관 사업 합작 투자 등을 먼저 제시했다. 미국이 가장 관심을 갖는 영역에 대한 양국 경제협력을 통해 관세 협상 카드로 이용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처럼 한 권한대행은 중국과 같이 미국의 고관세 조치에 맞대응하기 보다는 미국과 협상력을 높여 통상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한 권한대행은 전날 미 CNN과 인터뷰에서 한국이 중국이나 일본과 같은 방식으로 미국 관세에 맞대응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그런 식의 맞대응(fighting back)이 상황을 극적으로 개선시킬 것으로 보지 않는다”면서 “(맞대응이) 한·일·중 3국, 특히 한국에 정말로 이득이 될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은 이어 “우리는 차분하게 25% 관세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 평가하고, 차분하게 협상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우리는 소통하고 협력하고 함께 일해야 하며, 한미 간 윈윈 상황을 찾아내려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