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지난 9일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미국 증권 거래소에서의 중국 주식 퇴출’에 대한 질문을 받고 “모든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의 몫이지만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릭 스콧 상원의원(공화·플로리다)은 최근 폴 앳킨스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지명자에게 보낸 서한에서 미국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의 투명성과 미국 금융 공시 규정의 준수 여부 등에 대한 조사를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폴리티코는 트럼프 행정부가 이 같은 방안을 얼마나 진지하게 검토하는지는 불확실하다면서도 이 방안이 주목 받는 것 자체가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모든 수단을 동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미국 의회의 초당적 자문기구인 미중 경제안보검토위원회(USCC)에 따르면 지난 3월 7일 기준 미국 증시에 중국 기업 286개가 상장됐다. 이들의 총 시가총액은 1조1000억달러(약 1571조원)에 달한다.
미국 의회는 지난 2020년 미국 회계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중국 기업을 미국 증시에서 퇴출하도록 규정한 ‘외국기업책임강화법’(HFCA)을 제정했는데, 이에 따르면 미국 회계 당국의 감사에 2년 연속 제대로 응하지 않는 중국 기업은 거래소에서 퇴출 될 수 있다. 문제는 상장폐지까지 수년이 걸릴 수 있다는 점이다.
투자은행(IB) TD 코웬의 제럿 사이버그 이사는 최근 보고서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안보 권한을 활용해 일련의 행정명령을 발동해 중국 기업들을 미국 증시에서 퇴출하는 방법이 가장 빠르고 쉬울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중국 기업이 미국 증시에 상장할 때 사용하는 수단인 ‘가변이익실체’(VIE) 구조를 금지하는 방법도 있다고 제시했다. 이를 통해 미국 투자자들이 중국 기업에 대해 간접적으로 지분을 보유할 수 있는데, 이를 틀어막는 것이다. 트럼프대통령은 지난 2월 VIE 구조에 대한 재검토 지시하는 행정명령을 내린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어떤 선택을 하든 금융시장은 직격탄을 입을 수 있다고 폴리티코는 내다봤다. 이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으로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금융 시장은 혼돈에 빠졌기 때문이다. 월가는 관세가 공급망, 투자, 고용 위기를 초래하고 경기 침체를 촉발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주식의 대규모 상장폐지 조치가지 더해지면 투자자들에게 더 큰 충격에 빠질 수 있다.
골드만삭스는 이번 주 보고서에서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주식이 상장폐지된다면 약 8000억 달러 규모의 투매가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 출신인 록크리크 글로벌 어드바이저스의 캐서린 마틴 이사는 “감사자료 접근에 대한 미·중 합의가 이루어졌던 2022년 당시와 비교해 현재는 시장 상황 자체가 훨씬 불안정하다”며 “적절한 전환 기간 없이 갑작스럽게 조치를 단행할 경우 시장에 미치는 충격은 훨씬 더 클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