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일상권’은 서울시 미래공간전략인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처음 제시된 것이다. 멀리 이동하지 않고도 주거지 인근에서 다양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자족적 생활권을 의미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서울시는 9일 8개 시범대상지를 선정했다. 시범대상지는 ‘보행일상권 조성계획 기준 마련 및 시범사업 추진’ 용역 자문에 참여한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를 통해 진행됐다.
시범사업 추진 기준이 될 대상지는 △평창·부암(종로구) △금호·옥수(성동구) △청량리(동대문구) △신길(영등포구) △정릉(성북구) △수유(강북구) △홍제(서대문구) △양재(서초구) 총 8곳이 선정됐다. 대상지는 지역적 특성과 권역별 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했다.
|
서울시는 시범사업을 통해 대상지별 보행일상권 필수시설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시설 확충 방안도 함께 마련할 계획이다. 향후 공급 방안과 관련, 공공시설의 경우 기부채납이나 공공기금 등을 활용하고, 민간시설은 지구단위계획 내 권장 용도로 유도하는 방안 등도 제시할 예정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서울형 보행일상권을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라며 “앞으로 서울 전역에 100개 이상의 작지만 강한 자족형 생활권을 순차적으로 조성해, 시민의 일상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