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최근 마약범죄가 10~30대 젊은층에서 확산하는 경향이 보이는 만큼 유흥가 일대 집중 단속에 나선다. 클럽과 유흥주점 등 유흥가 일대가 그 대상이다. 마약류 범죄 관련 신고접수 이력, 범죄정보 등을 기반으로 단속이 필요한 업소에 대해 경찰청·지방자치단체·검찰청 등 관계기관 합동단속이 이뤄질 예정이다. 만일 단속과정에서 마약류·마약류·주사기 등이 발견되면 마약류 유통조직 수사까지 하겠단 방침이다.
아울러 외국인 마약류 사범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 체류 중인 외국인 밀집지역에 대한 법무부·경찰청·해양경찰청 관계기관 합동단속도 이뤄진다. 외국인 전용 유흥업소, 외국인 집단거주 숙소 등 주로 외국인이 출입가능한 장소를 방문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이와 더불어 경찰청·해양경찰청은 양귀비와 대마의 개화기·수확기에 맞춰 양귀비·대마 등 밀경 행위에 대한 고강도 단속도 진행한다.
마약류 해외 밀반입도 원천 차단하겠단 입장이다. 이를 위해 공·항만 등 국경단계에서 우범 여행자·화물을 집중 단속한다. 검찰청과 관세청은 마약류 범죄 우범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마약류 은닉이 의심되는 여행자·화물에 대해서는 단계별 검사(장비→개장→파괴검사)를 적극 실시한다.
특히 최근 강릉 옥계항에 입항한 외국 무역선에서 코카인이 적발되는 등 국내 입항·경유 선박 중 마약류 우범국 출항 선박에 대해 합동 진입검사를 실시한다. 또한 국경 반입 전 단계부터 마약류 밀수를 차단하기 위해 현지 공조수사도 강화한다. 검찰청은 태국·베트남·말레이시아 등 주요 마약류 유입국에 직접 검찰수사관을 파견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도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 차단을 위한 단속도 실시한다. 최근 처방환자 수가 급격히 증가한 프로포폴 등 마취제 및 ADHD 치료제(메틸페니데이트)를 중심으로 의료기관을 집중 점검한다.
정부 관계자는 “국민의 일상을 위협하는 마약류 범죄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각 기관의 수사·행정역량을 총동원할 예정”아라며 “기관 간 유기적인 공조를 통해 밀수·유통조직 검거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