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가 역대 두 번째 현직 대통령 파면을 선고한 다음 날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은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탄핵 무효를 주장했다. 참가자의 숫자는 탄핵 선고 전이었던 지난 주말보다 크게 줄어든 모습이었다. 이날 지지자들은 헌재의 판결을 철회시키기 위해 ‘혁명’을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대한민국바로세우기운동본부(대국본)는 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집회를 열었다.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처음 열린 주말 집회다. 선고일 임박 전망이 나오면서 절정에 달했던 보수단체의 주말 집회는 파면 결정 이후 눈에 띄게 줄어든 모습이었다. 오전부터 시작된 이날 집회엔 오후에 참가자가 불어나긴 했지만 무대차로부터 멀어질수록 빈 좌석이 눈에 띄었다. 그럼에도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국민저항권 발동’이라고 적힌 피켓이나 우산을 머리 위로 들면서 “사기 탄핵을 철회하라”고 입을 모았다.
한 중년 남성 참가자는 기자에게 “아무리 우리가 내가 좋아하는 후보를 찍어서 대통령을 만들면 무엇하느냐”고 되물으면서 “국민을 농락하거나 법치를 저버린 자들을 국민의 이름으로 처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참가자는 전날 헌재가 만장일치로 내린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을 두고 “이 판결은 헌정사에 길이 남을 모욕”이라며 “박살내야 한다”고 분노했다.
사법부의 결정을 부정하는 발언은 이후 집회 연설에서도 나왔다. 연단에 오른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는 “우리는 헌재의 결정에 결코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전 목사는 “국민 저항권이 정확하게 적용된 사건이 4·19 혁명 때였다”며 “여러분과 저는 4·19 혁명과 5·16 혁명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목사는 집회 참석자들에게 각자 지인 10명에게 윤 전 대통령의 탄핵이 부당하다는 내용을 담은 문자를 보내자고 했다. 그는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사실 70%가 넘는다”며 “길을 지나는 사람에게 물어도 다 서명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도) 내란 선동, 집회시위법 위반, 선거법 위반, 명예훼손 혐의를 100% 무죄를 받고 나왔다”며 집회 참가자들을 안심시키기도 했다.
|
헌재는 지난 4일 오전 11시 22분에 윤 전 대통령을 재판관 전원일치로 파면했다.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피청구인(윤 대통령)은 군경을 동원해 국회 등 헌법기관을 훼손하고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침해해 헌법 수호의 의무를 저버렸다”며 “국민의 신임을 배반한 것으로 헌법수호의 관점에서 용납될 수 없는 중대한 법 위반행위”라고 탄핵 사유를 밝혔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은 선고 직후 법률대리인단을 통해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같은 날 오후 윤 전 대통령의 탄핵을 요구해온 시민단체 촛불행동은 숭례문 인근에서 민주정부 건설과 내란세력 청산을 요구하는 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