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4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한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조치를 계속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을 자문위원에게 계속 전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원산지와 관계없이 대부분 수입품에 적용되는 보편적 관세를 부과한다는 아이디어를 되살렸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에서 ‘관세 확대 자제’를 설득한 참모들의 조언을 수용한 것을 실수라고 말했다고 한다. 아울러 그는 보편관세가 면제 조치를 인해 영향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소식통들은 말했다.
앞서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상호관세가 무역적자 규모가 큰 15% 국가, 이른바 ‘더티 15’(Dirty 15)에 대해서만 관세를 부과하게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WP 역시 이 안이 현재로서는 가장 현실성이 높은 선택지라고 예상했지만, 보편관세에 대한 새로운 안이 어느 정도 무게로 검토되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고 부언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6일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상호관세가 모든 나라 대상인지 최악의 국가만 대상으로 하는지에 대한 취재진 질문에 “모든 국가”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과 가까운 백악관 관계자는 “아무도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모른다”며 “무엇에 관세를 부과할지, 누구에게 어떤 세율로 부과할지 아주 기본적인 질문에는 아직 답이 나오지 않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를 전격 발표할 당시에도 백악관은 해당 발표에 완벽하게 준비되지 않은 상태였고, 이런 탓에 일부 일정을 연기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은 자동차 관세에 대해 해외 글로벌 자동차업체는 물론, 자국의 자동차 업계에도 사전에 입장을 공유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참모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신중한 관세정책을 조언하고 있지만,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과 같은 진정한 ‘관세 신봉자’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적극 지지하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강경한 관세정책을 부추기고 있다는 전언도 나왔다. 러트닉 상무장관을 “빌어먹을 악몽”이라고 부른 한 백악관 관계자는 “(러트닉은) 집무실에 가서 대통령이 듣고 싶은 말을 다 한다”고 비판했다.
관세가 소비자에게 전가돼 결국 소비심리를 위축시키고 경제를 침체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며, 공화당 내에서는 내년 중간선거에서 패배할 수 있다는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고 한다. 존 케네디(루이지애나주) 상원의원은 “중간선거에서 진다면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가 4년에서 2년으로 바뀔 것”이라고 말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