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지사도 “국민경선은 민주당이 유지해왔던 아름다운 전통이자 자부심이었다”면서 “역선택 등을 우려하는 것은 지금 불법 계엄 내란 종식을 이끌어낸 시민의 역량을 봤을 때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당원 여러분께도 호소 드린다”면서 “민주당이 지켜온 원칙과 상식의 토대 위에서 그간의 전통이 지켜지고 더 큰 정권 교체를 이룰 수 있도록 바로 잡아달라”고 했다.
김 지사는 조국혁신당이 대선 후보를 뽑지 않을 것에 대해서는 “안타깝다”고 밝혔다. 앞서 조국혁신당은 지난 11일 당무위원회에서 헌정수호세력의 압도적인 정권 교체를 위해 후보를 내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지사는 “조국 혁신당이 주장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도)가 (민주당에) 받아지지 않은 채 후보를 내지 못한 것은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 가능성이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개탄스러움을 금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 기자는 “한덕수 대행은 이번 계엄 과정에서 계엄에 방조한 그와 같은 혐의를 받고 있다”면서 “국민의힘에 마땅한 후보가 없어 늘 그랬듯이 바깥에서 데려오는 식으로 한덕수 총리의 이름이 거명되고 있는데, 내란 방조 혐의가 있는 대행이어서 개탄스럽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민주당에서 추진하는 한 권한대행·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대한 탄핵과 관련해서는 “두 사람을 탄핵할 이유는 충분하다고 본다”면서도 “대통령이 파면돼 대선 모드로 전환한 상황에서 탄핵에 들어가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재명 예비후보를 비롯해 진보 진영 일부에서 ‘개헌보다는 내란 종식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서는 “개헌을 내란 종식과 같은 프레임으로 덮으려는 시도”라며 “결국 개헌에 대한 진정한 의지가 부족하다는 방증일 수 있어 유감스럽다”고 지적했다. 그는 “개헌의 시점보다 중요한 것은 실행 가능한 정치적 여건을 만드는 일”이라며 “이번 대선에서 개헌에 대한 합의가 이뤄질 수 있다면 좋겠고 그렇지 않다면 지방선거 시점이라도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한편, 그는 한편 지난 9일 대선 출마 선언 직후 다녀온 미국 미시간주 출장에서 논의한 상호관세 대응과 방미 성과를 이날 보고했다. 그는 “미시간주와 경기도 간의 정부 차원에서의 협력 구축 채널을 만들어서 관세 문제를 공동대처하는 데 합의했다”며 “또 기업 간 채널 확립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트럼프 관세 폭탄으로 인해 우리 정부가 미온적이거나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더라도 (경기도와 협력을) 구체적으로 하기로 했다는 것에 대해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