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경기경제자유구역청(경기경제청)에 따르면 경기경제청이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을 위한 개발계획변경(안) 수립 연구용역 추진을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올 1월까지 도내 시군을 대상으로 공모를 추진했다.
|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국내외 투자기업에 대한 관세·취득세·재산세 혜택, 자금 지원 등의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또 다양한 규제 완화가 이뤄져 기업투자와 유치가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수원시는 권선구 서수원 일원에 추진되는 수원 R&D사이언스 파크와 탑동 이노베이션밸리 등 3.24㎢ 부지에 연구개발(R&D) 기반의 반도체 첨단산업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성균관대를 중심으로 수원시 권선구 입북동 484번지 일원 35만2600㎡에 조성 계획 중인 수원R&D사이언스파크는 최근 개발제한구역 일부 해제로 탄력을 받게 됐다. 수원시는 이곳에 R&D(연구&개발), ICT(정보통신), 반도체, BT(생명공학), NT(나노기술) 기업 등 첨단연구기업을 유치해 양질의 일자리 4000여개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다. 총사업비는 2955억원이다. 수원시는 올 상반기 중 개발제한구역 해제 고시 이후 본격적인 사업 절차를 진행해 2028년까지 시설용지와 기반시설을 조성할 방침이다.
수원시 권선구 탑동 540-75번지 일원 26만8818㎡에 추진되는 탑동 이노베이션밸리는 첨단업무시설용지와 기반시설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2510억원으로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국토연구원 연구에 따르면 수원 경제자유구역 조성 효과는 생산유발 13조6000억원, 부가가치창출 5조4000억원, 일자리창출 8만9000명에 이른다.
파주시는 교하동 일원 5.43㎢ 부지에 미디어콘텐츠, 디스플레이, 첨단의료 바이오산업을 유치한다. 수원시와 파주시는 외국인투자유치, 첨단핵심전략산업유치를 위한 노력과 해당지역의 투자여건 등 외국인 투자와 기업유치 부분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의정부시는 가능동, 금오동 일원 0.98㎢ 부지에 미디어콘텐츠, 인공지능(AI), 바이오메디컬 등을 유치해 첨단산업단지 허브로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미군반환공여구역 활용방안 등 경기북부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해 향후 개발계획 수립시 타 경제자유구역과 차별성이 부각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다만, 투자수요에 맞는 구역계 면적 조정, 부지 공급시기 등 일부 보완이 필요한 내용은 해당 시와 협의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해야 할 부분으로, 경기경제청은 올해 상반기중 개발계획변경(안) 수립 연구용역에 착수해 최종 신청 지구를 결정할 계획이다.
최원용 경기경제청장은 “전국 경제자유구역 전체 면적 271㎢에 비하면 경기경제자유구역은 면적이 5.24㎢로 미미한 수준이다. 특히, 경기북부지역은 수도권·군사규제 등에 따라 국가정책에서 지속적으로 소외돼 왔다”며 “이번 선정을 계기로 경기도 위상에 걸맞은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수도권 규제로 입지가 어려운 첨단산업 등 글로벌기업 유치를 위해 경기경제자유구역이 확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경기도 경제자유구역은 평택포승, 평택현덕, 시흥배곧 총 3개 지구(5.24㎢)가 지정돼 있으며, 안산과 고양에서도 추가 지정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