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수십 년 동안 아시아 공급망을 구축한 회사들은 낮은 마진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계획을 고수한다고 가정할 때 관세 인상 비용을 전가할 수밖에 없다”고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 2일(현지시간) 주요 무역 상대국에게 10% 이상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중국(34%)을 비롯해 베트남(46%), 태국(36%), 인도네시아(32%), 인도(26%) 등 아시아 신흥국에 높은 관세율이 매겨졌다.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운 트럼프 행정부는 글로벌 기업의 미국행을 촉구하지만 아시아 지역 기업들이 미국에서 노동 집약적 제품을 생산하긴 쉽지 않을 것이란 판단이다. 결국 생산지를 변경하는 대신 가격 인상을 통해 대응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WSJ에 따르면 미국에서 사업하고 있는 호주 보호 장갑 제조업체 앤셀은 지난 4일 관세 상쇄를 위해 가격을 인상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대부분 장갑을 아시아에서 생산하는 앤셀은 미국으로 공장을 이전할 계획이 없다고 전했다.
중국 광둥성에서 고급 오디오 장비를 만드는 필립 리처드슨은 “노동력이 저렴한 중국 지역에서 부품을 공급받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며 “1만달러스(약 1461만원) 스피커 같은 고급 제품의 경우 최종 고객이 (관세) 인상의 대부분을 지불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여지를 남기면서 당장 공장을 이전하기보다 상황을 지켜보려는 수요도 많다. WSJ는 “많은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와 협상해 세금을 낮추거나 인상할 의향이 있을 것이라고 믿으며 기다리고 지켜보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베트남과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면 관세를 0%로 낮출 준비가 됐다고 밝혀 협상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했다.
만약 트럼프 행정부가 지금과 같은 관세율을 유지할 경우 관세율이 낮은 특정국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입장에 설 수 있다는 분석이다. WSJ는 “멕시코, 브라질, 인도 같은 국가는 중국의 광대한 공급망을 미국 시장에 연결하는 데 더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베트남과 캄보디아가 이끄는 아시아의 현재 연결국 역할을 대체하기 위해 투자를 유치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이 결국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입지만 넓혀주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란 의견도 나왔다. WSJ는 이날 사설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글로벌 무역전쟁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전략적 선물이 될 수 있다고 지목했다.
지금까지 세계 각국이 경제·전략적 블록으로 묶여 중국을 견제했지만 대부분 국가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가 이러한 연결 고리를 끊었다는 것이다. 이에 미국으로부터 관세 타격을 받은 국가들이 중국을 대안으로 삼을 수 있다는 해석이다.
WSJ는 “미국은 중국에 대한 유럽의 경제적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수년간 노력했지만 관세 전쟁이 터져 유럽과 중국의 교역 증가는 이제 시간문제”라며 “시 주석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서방의 분열을 확인하게 됐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