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교양 PD 출신 김재환 감독은 지난 21일 유튜브 채널 ‘45플러스’에 ‘백종원은 회생할 수 있을까? 백종원과 미디어가 서로를 이용하는 법’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공개했다.
|
김 감독은 지난 2015년 백 대표를 대중에 알리게 해준 프로그램 MBC 예능프로그램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하 ‘마리텔’)을 언급했다. 김 감독은 “이 방송 이후 다음 해 매출이 510억원 폭증했다. 가맹점들이 계속 망해가는데도 백종원이 방송에 자주 나오면서 신규 가맹점들을 더 많이 받으면서 더본코리아는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 감독은 백 대표가 ‘마리텔’ 이후 방송사에 “프로그램에 내가 지명하는 작가팀을 넣어라” “내가 지명하는 촬영팀을 넣어라” 등 무리한 요구를 했다고 지적하면서 “촬영 현장의 분위기는 PD와 촬영팀의 호흡이 중요하다. 백종원이 데려온 촬영팀이 백종원의 심기만 살피면 현장의 권력을 백종원에게 쏠린다. 담당PD가 출연자에 대해 냉정하고 객관적인 이야기를 할 수 있겠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심지어 백종원이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은 방송에서 하차했다. 대부분의 톱스타들은 스태프 구성이나 다른 출연자 문제를 언급하는 걸 굉장히 조심하지만 백종원은 완전히 다른 유형이었다. 방송가에서 (백종원에 대한) 불만은 점점 쌓여 갔지만 다 묻혔다”고 주장했다.
김 감독은 그럼에도 백 대표가 승승장구 할 수 있었던 것은 ‘인맥’ 덕분이라고 보았다. 김 감독은 “자신이 방송사 사장과 ‘형, 동생’하는 영향력 있는 사람이라는 걸 제작진이 알면 모든 게 원하는 대로 풀렸다”며 “방송사 사장 또한 슈퍼스타 백종원의 인맥을 자랑하며 ‘앞으로 잘 모시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담당 PD는 무리한 요구에 미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게 나쁜 쪽으로 발현이 되면 ‘갑질’”이라고 덧붙였다.
|
그러면서 “일반인은 잘 들어가지도 않는 회사 홈페이지에 ‘나 빼고 다 바꾸겠다’는 입장문을 올려서 사태가 잠잠해지길 기다리는 건 너무 비겁하다”며 “백 대표가 친 사고의 뒷감당은 점주들이 하면서 고통받고 있다. 백 대표는 더 이상 숨어 있지 말고 카메라 앞에서 쿨하고 진실하게 사과하라. 그래야 상황이 바뀐다”고 강조했다.
다만 김 감독의 주장에 “사실무근”을 주장하는 관계자들의 증언도 등장했다. 한경닷컴에 따르면, 과거 백 대표와 함께 프로그램을 만들었던 한 연출자는 “우리 프로그램에서는 전혀 그런 적이 없다. 어떻게 이렇게까지 나오냐”고 반박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백 대표는 전문 방송인들과 달리 아쉬울 게 없는 사람”이라며 “자신의 의견을 직설적이고 강하게 피력하는 스타일은 맞지만 갑질을 문제 삼을 정도는 아니었다”고 했다.
한 방송 관계자는 “백종원 대표가 사람을 가리는 것은 맞다”면서도 “자기가 하는 말을 잘 이해하고, 함께 일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지속해서 소통하려 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피하려고 하는 건 본능 아니냐”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