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트럼프, 자동차 부품 25% 관세 일부 면제 예정”(종합)

김상윤 기자I 2025.04.24 06:11:08

FT "마약 관련 20% 중국관세, 철강·알루미늄 관세서 제외"
중첩적으로 부과된 관세서 일부 품목에 한해 면제 조치
강력한 관세 정책서 한발 물러서…특정산업 예외 시사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를 일부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다만 25%의 관세율을 전면 철폐하는 방식이 아니라 중국산 마약 문제와 관련한 관세, 철강·알루미늄에 부과된 관세에서 자동차부품에 예외를 주는 방식이다. 최근 몇주간 완성차 업체들의 강력한 로비에 일부 관세를 완화한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펜타닐 생산에 대응하기 위해 부과하고 있는 20%의 관세, 그리고 철강과 알루미늄에 부과된 25% 관세에서 자동차 부품에 대한 추가 관세(25%)를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기존에 여러 항목에 중첩적으로 부과되던 관세를 일부 품목에 한해 면제하거나 분리해 적용하는 ‘디스태킹(Destacking)’의 일환이다.

FT는 외국산 완성차 전체 수입에 대해 부과한 25%의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전했다. 자동차 부품에 대한 별도의 25% 관세 역시 유지되며, 이는 5월 3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주요 교역국에 적용한 상호관세에서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는 제외했다. 하지만 마약관련 중국 관세 등에서는 별도로 면제조치를 내리지 않았다. 이에 따라 품목별 관세(25%)가 더해지면 지나치게 관세율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FT는 이번 양보는 자동차업쳬에 승리를 안겨주는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한 관세 정책에서 한발 물러서는 또 다른 조치가 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으로 인한 글로벌 시장의 급락과 미국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진 뒤, 특정 산업에 대해 예외를 줄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해방의 날’에 미국 교역국에 최대 50%의 상호 관세를 발표했으나, 이후 90일 동안 기본 관세 10%로 낮췄다.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율은 145%까지 높아졌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이를 낮출 수 있음을 시사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