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명품 플랫폼 발란, 결제서비스 중단…"제2의 티메프 우려"

오희나 기자I 2025.03.30 09:11:46

신용카드사·전자결제대행, 서비스 중단·철수
발란, 정산 지연 사태 '유동성' 위기 기인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판매대금 정산 지연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의 결제 서비스가 전면 중단됐다. 업계에서는 유동성 위기로 인한 결제서비스 중단에 이어 결국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가 재연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0일 업계에 따르면 발란은 지난 28일 밤부터 상품 구매·결제가 모두 막혔다.

신용카드사와 전자결제대행(PG)사가 서비스를 중단하고 철수한 것으로 보인다. 발란의 자체 결제서비스인 발란페이도 멈춘 상태다.

현재 결제창에는 ‘모든 결제 수단 이용이 불가하다’는 안내문이 뜨고 있다. ‘빠른 시일 내에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조치 중’이라는 안내 문구만 뜬다. 사실상 서비스 중단 상태에 가깝다. 현재까지 회사 측 공식 입장이나 해명도 없는 상태다.

앞서 발란은 지난 24일 일부 입점사에 대한 판매대금을 지급하지 못해 논란이 됐다.

발란 측은 정산 오류가 발생해 정산 일정을 미뤘다면서 지난 28일까지 일정 재개 일정을 재공지하겠다고 밝혔으나 끝내 실행되지 않았다.

최형록 대표는 정산 지연에 대한 사과문을 내고 이번 주 중 입점사를 직접 만나 그간의 경위와 계획을 설명하겠다고 해명했다.

업계에서는 정산 지연 사태가 발란이 겪고 있는 유동성 위기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2015년 설립된 발란은 2022년 한때 기업가치 3000억원까지 인정받았으나 최근 수년간 판매 부진과 고객 이탈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최근 기업가치가 10분의 1인 300억원대로 추락했다.

2020∼2023년 4년간의 누적 영업손실액은 724억원에 달한다. 지난해에도 적지 않은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며 지난 2023년부터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업계 관계자는 “거래가 침체한 상황에서 어떻게든 매출을 일으키려고 10% 초반대의 판매 수수료를 초과하는 20∼30% 할인쿠폰을 남발했고 결국 플랫폼의 총체적인 부실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