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조기 대선, 이재명 독주일까[정치프리즘]

최은영 기자I 2025.04.07 05:10:00

‘정권교체’ 여론 우세 속 ‘反 이재명’ 정서 변수
두 달 내 치러질 조기 대선,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냐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 3년 만에 대통령 선거가 다시 실시된다. 조기 대선이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에서 탄핵 파면됐다. 우리 헌법은 대통령이 궐위하면 60일 이내에 선거를 실시해 대통령을 선출하도록 돼 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미 다음 대통령 선거 준비에 들어갔고 유력한 선거일은 6월 3일로 거론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보수 정당의 대통령은 2번이나 탄핵을 당한 상태다. 8년 전 박근혜 대통령은 8명 헌법재판관의 전원일치로 파면됐고 직후 실시한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가 당선됐다. 당시 상황은 새누리당 의원들도 적극적으로 탄핵에 참여했고 그 이후 대통령 선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정치 세력을 만들면서 보수는 분열했다. 그 결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1%, 박근혜 대통령의 새누리당을 잇는 자유한국당의 홍준표 후보는 24%로 참패하고 말았다. 탄핵으로 보수가 무너진 환경에서 공식 선거 운동 기간에 들어가기 전 3위에 머물렀던 홍 후보가 당시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를 앞질렀다는 사실만으로 위안을 삼는 힘든 선거였다.

그렇다면 이번 조기 대선은 어떨까. 우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독주를 점치는 의견이 많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선거는 기본적으로 구도다. 어느 쪽 후보에게 표를 줄지 이미 기울어져 있다면 사실상 선거 판세는 안 봐도 비디오다. 한국갤럽이 자체적으로 지난 4월 1~3일 실시한 조사(전국 1001명 무선가상번호전화면접조사, 표본오차 95%·신뢰수준±3.1%p·응답률13.7%, 자세한 사항은 조사 기관의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 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에서 ‘다음 대통령선거 관련 두 가지 주장을 제시하고 어디에 더 동의하는지’ 물은 결과 ‘현 정권 유지를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 37%, ‘현 정권 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 52%로 나타났다. 11%는 의견을 유보했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경북(TK), 부산·울산·경남(PK)을 제외하고 서울을 포함한 모든 지역에서 ‘정권 교체’ 여론이 더 높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와 70대 이상을 제외하고 전 연령대에서 ‘정권 교체’ 여론이 우세했다. 중도층에서는 ‘정권 교체’ 의견이 62%, ‘정권 유지’ 응답이 28%로 새로운 정권에 대한 의향이 월등했다. 이 여론대로만 조기 대선이 전개된다면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 앞에 남은 걸림돌은 더 이상 없어 보인다.

그렇다면 다가오는 대선은 이재명으로 시작해서 이재명으로 끝나는 선거일까. 그렇지 않다. 여전히 ‘이재명 대 반이재명’ 정서는 강력하게 존재한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이 가결되고 그로부터 한 달 이내에 보수 지지층이 강력하게 결집한 이유는 ‘윤 대통령 탄핵’이라기보다 ‘이재명 포비아(Phobia·공포증)’가 강력하게 작동했기 때문이다. 한국갤럽이 자체적으로 실시한 지난 1~3일 조사에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이재명 대표에게 지난 3월 26일 2심 법원이 무죄를 선고했는데 이 판결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물은 결과 40%가 ‘잘된 판결’, 46%가 ‘잘못된 판결’이라고 답했다. 14%는 의견을 유보했다. 진보층의 77%는 잘된 판결, 보수층의 78%는 잘못된 판결로 봤고 중도층에서는 팽팽하게 나타났다. 선거 구도는 민주당에 유리하지만 선거 성격이 ‘이재명 대 반이재명’으로 진행되면 유권자들의 선택은 달라질 수도 있다.

지역별로 호남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오차 범위 내 또는 밖으로 이 대표에 대한 2심 무죄가 ‘잘못된 판결’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연령대별로 보더라도 이 대표의 2심 무죄 판결이 더 낫다는 의견은 40대에서만 나타났다. 그만큼 민주당이 탄핵 정국과 바로 이어지는 조기 대선 국면에서 유리한 환경임은 분명해 보이지만 이 대표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식은 선거 구도와 다를 수도 있다는 점을 거듭 확인해 주고 있다. 실제로 같은 조사에서 차기 정치 지도자(대통령감)로 누가 나은지를 물어보는 문항에서 이 대표는 자신의 2심 무죄 선고가 나오기 전 36%였는데 그 이후 조사에서 두 번 연속 34%로 나왔다. 무죄 효과를 받았다면 올라갔어야 할 지지율이 도로 내려온 결과가 충격적이다. 윤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보수 지지층의 전투력에 상당한 전의 상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인지상정이다. 뉴욕 양키스의 전설적인 포수였던 요기 베라가 말했듯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쟁은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It ain’t over till it’s over).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