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업계 선두 격인 바로고가 낸 `일석삼조`의 묘안이다. 아프간 난민은 국내에 정착하고 배달업계는 일손을 충원할 수 있으니 아귀가 맞아떨어진다. 이로써 이들이 자립하면 정부는 지원 부담을 덜 수 있다.
사실 아프간 난민을 배달 업계로 흡수하는 것은 풀어야 할 변수가 많다. 아프간인의 지리적 한계와 한국인의 문화적 장벽을 허물어야 한다. 그럼에도 민간기업인 바로고가 자발적으로 나선 것은 그만큼 구인난이 심하다는 방증이다.
현재 배달업계는 배달원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다. 주문 증가, 겨울철 배달원 감소, 고용보험 확대 삼중고가 겹친 결과다.
우선 배달 주문은 코로나 19를 겪으면서 추세적으로 점증한 게 사실이다. 바로고 통계를 보면 지난달 완료한 배달은 1754만건으로 전년 동기(1260만건)보다 39% 늘었다. 바로고가 배달 시장을 전부 흡수한 것이 아니라 시장 자체가 팽창한 결과다.
그럼에도 이 기간 바로고 배달기사는 2만6000명에서 3만5000명으로 34% 증가하는 데 그쳤다. 1인당 배달건수로 환산하면 작년 484건에서 올해 501건이다. 주문건수가 늘어난 만큼 비례해서 배달원이 늘지 않았다.
더구나 겨울은 계절적으로 배달원이 감소한다. 추운 날씨가 배달원 근로 의욕을 꺾는다. 적설량이 많고 일수가 길수록 배달원의 시장 참여율은 떨어진다. 운행 능력이 저하돼 자칫 사고로 이어지는 걸 우려하는 탓이다.
배달대행업체 A사 관계자는 “배달이 생업이 아니라 부업인 이들 상당수는 겨울에 일을 쉬니 일손이 달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배달원의 제도권 편입도 걸림돌이다. 지난 7월 산재보험에 이어 내년 1월부터 고용보험이 각각 배달원에게 전면 적용된다. 배달시장이 장기적으로 성숙하려면 반드시 필요한 장치이지만 단기적인 파장으로 배달원이 시장에서 이탈하고 있다. 보험료 부담 등을 꺼려 자발적으로 비제도권에 머물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상황에서 배달원을 확보해 붙들려면 유인책이 필요하고 결국 배달료가 들썩이게 된다. 이달부터 서울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기본 배달료를 올린 데 이어 내달부터 줄인상이 예정돼 있다. 배달료 부담은 자영업자의 몫이라서 연말로 갈수록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바로고 관계자는 “오죽하면 외국인 노동자를 배달 시장으로 편입하려는 생각을 했을지 정부에서 헤아렸으면 싶다”며 “배달 시장을 활성화하려면 유학생이 취업할 수 있도록 비자를 확대하는 방안도 고민해줬으면 하다”고 말했다.
이날 현재 법무부는 바로고의 협조 의사에 반응하지 않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