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세월호, 추모 넘어 기억과 행동으로 이어질 때

신상건 기자I 2019.04.16 06:15:00
[이데일리 신상건 기자] 2014년 4월16일, 수학여행 길에 올랐던 325명의 단원고 학생들을 비롯한 476명 탑승객을 태운 세월호가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사고를 당했다. 한쪽으로 기운 배는 불과 3~4시간 만에 완전히 물밑으로 사라졌다. 이 사고로 탑승객 304명이 끝내 뭍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5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하지만 세월호의 참사 원인은 여전히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세월호 참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2015년 3월 1기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가 출범했지만 특조위는 출범 21개월 뒤에도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 채 해산됐다. 2기 세월호 특조위도 우여곡절 끝에 지난해 3월 출범했지만 진상 규명엔 여전히 속도가 더디다.

지난달 28일 제2기 세월호 특조위가 참사 초기 검찰에 제공됐던 선체 폐쇄회로(CC)TV에 대한 조작 가능성을 제기한 것이 성과의 전부다. CCTV 조작 가능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수사당국 수사가 필요하지만 수사 착수여부는 불투명하다. 이에 세월호 유가족들은 진실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한 검찰 특별수사단 설치와 전면 재수사를 요구하며 국민서명과 청원을 진행하고 있다.

5년씩이나 끌어온 이슈에 피로감을 호소하는 시민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최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뿐 아니라 단순한 추모를 넘어 세월호가 주는 교훈을 잊지 않도록 후대에 전파하는 일도 그 못지 않게 시급하다. 세월호 추모공간들이 일부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 등을 중심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이유다. 세월호 천막이 사라진 광화문 광장에 들어선 24평 규모의 기억·안전 전시공간이 대표적이다.

일각에서는 한 발 더 나아가 참사 현장인 진도 팽목항을 다크투어리즘 장소로 만들자는 의견도 나온다. 다크투어리즘은 참사 또는 재난의 장소에 기억·추모공간을 조성해 참사를 올바르게 마주보고 기억하며 진실을 밝히고 되풀이하지 말자는 것이 주된 취지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리와 그에 따른 제반 비용을 감당할 재원이 필요하며 이를 합의해 내기 위한 국민적 공감대도 필요하다. 이제부터라도 공론화를 진지하게 논의해야 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